소스트리는 터미널로 사용하는 기존의 깃 방식을 GUI방식으로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어떤 방식을 선택하는건 본인의 몫이기 때문에 무엇이 더 효율적이고 무엇이 더 좋다라고는 못하지만
작성자는 소스트리를 사용중이다.
STS에서도 커밋과 풀이 가능하지만 보기좋고 깔끔한 소스트리를 더 선호한다.
https://www.sourcetreeapp.com/
위 링크를 통해 들어가면 소스트리를 다운 받을 수 있다.
진행 화면이다. 기존아이디가 있다면 사용하면 되고, 구글 아이디로도 연동이 가능하니까 구글 아이디를 보유하고 있다면 기존 계정 사용을 누른다.
위의 Log in with Google을 누르면 된다.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기존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면 (작성자는 STS에서 워크스페이스에 git 프로젝트를 import하고 import된 프로젝트가 있는 폴더를 소스트리에서 경로를 잡아준다.
클론을 만들기 위해서는 clone을 누르고 git 경로를 잡아주면 되고
폴더를 잡아주기 위해서는 Add를 눌러 폴더위치를 잡아주면 된다.
끝이다. 이제 실습으로 이클립스 또는 메모장 등을 이용해 깃이 생성된 경로 내에 새로운 파일 또는 변경사항을 발생시키고 소스트리에서 확인해보자.
위와같이 스테이지에 올라가지 않은 파일 리스트에 새로 생성된 파일들이 나열된다.
이들을 깃 저장소에 커밋을 한다면 비로소 같은 작업을 하는 사용자들에게 보여지게 된다.
파일들을 커밋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위에 파일리스트에 모두 스테이지에 올리기라는 버튼을 누르거나 하나하나 파일을 선택해 "스테이지에 올라간 파일" 리스트에 옮겨주고 커밋을 하면 된다.
단 커밋을하기 전 자신이 수정하거나 생성한 파일에 대해서 코멘트를 반드시 남겨줘야한다.
이유는 자신이 만들거나 수정한 파일에 대해 협업에 있는 사람들은 그 파일의 존재 여부도 모르거나 어디가 어떻게 왜 수정되는지를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자 커밋을 했다면 이제 push을 해야한다. 이는 확정 단계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미지의 11시방향 push버튼 위에 1이라는 숫자가 생겼다.
push를 하기위한 이벤트가 있다는 뜻이다. push를 눌러보자.
위와같은 화면이나온다. 아직 자세한건 배우지 않았으니 Push버튼을 눌러 진행한다.
정상적으로 커밋앤푸시가 완료 되었다.
이것으로 소스트리의 아주 매우 간단한 설명을 마친다.
'Dev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pository 생성 (0) | 2017.12.21 |
---|---|
git 설치 및 알아보기 (0) | 2017.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