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git은 프로그램 등의 소스 코드 관리를 위한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최초에 리누스 베니딕트 토르발스가 리눅스 커널 개발 이용하려고 개발하였으며, 현재는 다른 곳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git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자신의 pc 또는 노트북에 git을 설치해야 사용이 가능하다. 아래의 링크를 클릭해 git 설치 페이지로 접속해보자.
- git : https://git-scm.com/
위 주소에서 들어가면
git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우측 중앙에 자신이 사용하는 PC 정보의 다운로드가 나온다. Download를 누르면 설치파일을 받을 수 있다.
설치방법은 본인도 모든 값을 기본으로 두고 시작했으니 Next를 눌러 우선 간단하게 설치를 해보자.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각자 OS에 따라 방법이 다르겠지만 Windows10을 기준으로 화면 좌측 하단에 Windows 검색 기능이 있다.
이곳에 "git"이라고 검색해보자.
검색결과를 보면 "Git Bash" 파일을 볼 수 있다.
이것을 실행 한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위의 사진처럼 git Bash가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었으면,
git 이라는 명령어를 쓰고 엔터를 눌러보자.
위처럼 git이라는 명령어를 첬을때 이러한 명령어의 종류가 나열된다면 정상적으로 git이 설치된 것이다.
이상으로 git을 간단히 설치해보았다.
'Dev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GUI) 소스트리(Sourcetree) 사용 (0) | 2018.03.16 |
---|---|
repository 생성 (0) | 2017.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