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파일을 다운받는다.
별다른 설정없이 설치를 기본 설정으로 완료하면 화면상단에 독바가 뜬다.
Dock 설정을 누르면
글쓴이처럼 화면 하단에 표시하고 싶다면
위치탭에서 위와같이 설정해준다.
잘보이쥬?
다음 일반 탭에서는 Windows 시작시에 실행을 체크하고 확인을 누른다.
최초 설치시에는 독바의 아이콘이 별로 못생겼다. (내 기준)
https://rocketdock.com/addons/all/popular
위 링크를 클릭해서 들어가면
Popular에 있는 Stacks Dockletd을 다운받는다.
빨간 동그라미 표시를 누르면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다음은 스킨이다. 개인적으로 스킨은 설정해주는걸 추천한다. 기본 스킨은 너무 심심하다.
작성자는 Complet Skin Nabs를 사용중이다.
Icons 탭에서 아이콘도 같은 방법으로 다운받을 수 있다.
개인적으로 아이콘이 너무 공격적이게 생겨서 다운 받는걸 비추한다.
작성자는 필요한 아이콘만 구글링해서 직접 바꿈
자 이제 Skin과 Stacks Docklet 설정 방법을 알아보자.
우선 스킨
1) 다운받은 파일이 압축파일이면 압축을 해제한다.
2) 압축이 해제되면서 나온 폴더를 RockDock이 설치되어 있는 폴더안에 있는 Skins폴더에 넣는다.
작성자 경로 예) D:\Program Files (x86)\RocketDock\Skins
3) RocketDock 설정화면으로 들어간다. 글 제일 상단에 있는 사진처럼 들어가면 된다.
4)
스타일탭에서 테마부분에 자신이 다운받았던 폴더의 이름을 찾아서 선택하고 확인을 누르자.
변했나요? ㅎㅎ
다음은 Stacks Docklet 설정!!
Skin 설정보다는 약간 까다롭지만 어렵지않으니 잘 따라오시길
위에서 다운받은 Stacks Docklet 압출 파일을 해제한다.
이런 파일이 나온다. 그럼 스킨처럼 정해진 경로에 넣어줘야한다.
경로는
RocketDock의 설치경로 안에 있는 Docklets 폴더다.
작성자 예) D:\Program Files (x86)\RocketDock\Docklets
저 RocketColock 이라는 친구랑 같이 있으면 됀다.
다음 독바로 가보자.
아이템추가 - Stack Docklet을 눌러주면 아래처럼 멍청한 아이콘하나가 생성된다.
저 멍청한 아이콘을 누르면 다시 아래처럼 새로운 창 하나가 뜬다.
여기서 설정을 해줘야한다.
자. Folder라고 쓰여있는 란 아래있는 하얀색 빈칸에는 폴더의 경로가 들어가야한다.
어떤 폴더의 경로가 들어가야하면 자신이 쌓아놓을 아이콘들을 담은 폴더다.
예를 들어서 아래 사진처럼 MS Office를 모아놓은 독바를 만들고싶다.
이러면 잘 정돈이 된 폴더하나를 바탕화면이 아닌 c 혹은 d드라이브에 생성하고 그 안에
폴더 이름을 ms office 혹은 본인이 원하는 폴더의 이름을 적고 생성한다.
(폴더의 이름은 상관이 없지만 정리가 잘 되야 하니까 본인 스스로가 잘 정돈해서 설정하기를 바란다.)
맘에들지는 모르겠지만 최선을 다해서 정리한 작성자의 폴더 상태다. 이런식이든 다른방식이던 스스로가 편한 방법으로 선택한다. 바탕화면에 아이콘을 두는건 비추천한다. 작성자는 독바를 아이콘이 없는 깔끔한 배경화면을 위해 설치했기 때문이다.
이야기가 너무 산으로 갔는데 이어서 말하자면 아래 폴더 찾아오기 경로에서 위에서 말한대로 본인이 정한 경로를 찾아 확인을 눌러주면 된다.
경로를 설정했다면 그아래는 보이는것처럼 아이콘을 설정하는 란이다.
기본으로 설치되어있는 아이콘들이 있으니 맘에 드는걸 선택하던지 개인이 다른 경로에서 다운을 받던지는 자유다.
그리고 맨아래 체크 Don't show 'open folder'를 체크하면 독바에서 리스트를 펼쳤을 때 저 문구를 보여주냐 마냐 라는 선택사항이다. 사용자가 기호에 맞게 사용하면 된다.
아 혹시 몰라서 작성자가 사용중인 아이콘 몇개를 첨부하니까 쓰고싶은 사람들은 그냥 쓰세요 저도 구글링 해서 다운받은거라 내것도 아니라서 ㅋㅋ
이런 아이콘들이 들어있다.
이상으로 자랑스러운 26기 개발자 동기분들을 위한 RocketDock 설치 및 설정을 마친다.